경기 리뷰

대한민국 vs UAE 경기 Review

축미남 2022. 3. 30. 16:20

*모바일 보다 PC로 보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개인적인 생각으로 작성된 글입니다.

 

2022년 03월 29일 22시 45분

월드컵 아시아 지역 최종 예선전

대한민국 vs UAE 킥오프가 시작됐다.

결과는 대한민국 0 : 1 UAE 

두 팀에 대해 리뷰해보려고 한다

 

포메이션

대한민국 4-2-2-2

대한민국 포메이션 4-2-2-2

 

대한민국의 포메이션부터 살펴보면 4-2-2-2 포메이션으로 경기를 진행했다.

포메이션은 두 명의 수비형 미드필더처럼 보이지만 경기 시작 후 정우영 선수가 홀딩 수비형 미드필더 역할을 수행했으며, 이재성 선수는 수미 지역이 아닌 중앙에서 볼을 운반해주는 역할을 했다.

공격진도 마찬가지로 투톱 형태를 띠고 있긴 하지만 권창훈 선수가 미드필더 지역으로 많이 내려와 공을 받아주는 역할을 수행을 했다.

경기만 놓고 보면 4-1-1-2-2 형태라고 볼 수 있다.

수비 상황에서는 권창훈 선수와 이재성 선수가 미드필더로 이동해 4-1-4-1 형태로 수비라인을 형성했다. 

 

UAE 4-1-4-1

UAE 포메이션 4-1-4-1

 

UAE의 포메이션은 4-1-4-1 형태로 역습형 스타일의 포메이션으로 경기를 진행했다.

수비 포메이션으로는 4-5-1

공격 진행 시에는 4-4-2 진형으로 8번 ALMESMARI 선수가 중앙으로 이동하고 측면 선수나 또는 중앙 미드필더 자원들이 공격 진영으로 올라가는 형태를 보여주었다.

간혹 전방 압박을 하는 과정에서도 4-4-2로 진행을 하고 압박이 어려우면 바로 4-5-1 진형으로 돌아왔다.

 

경기 지표 및 통계

경기 지표 및 통계 / 출처: 트랜스퍼 마켓

 

경기 통계를 보면 일반적으로 대한민국이 점유율을 가져가면서 경기를 진행했다.

하지만 슈팅 대비 유효 슈팅의 비율을 보면 UAE 가 우세하다고 볼 수 있다.

해당 지표만 보면 UAE가 계획한 역습 전술이 대한민국 상대로 제법 효과를 봤다고 할 수 있다.

여기서 대한민국의 아쉬운 점은 세트피스 기회를 살리지 못했다는 것이다.

보통 두줄 수비나 내려앉은 팀 상대로는 세트피스의 기회가 매우 중요하다.

코너킥과 프리킥 총 29번의 기회가 있었지만 번뜩이는 장면은 두 장면 정도밖에 없었다.

기회 대비 효율이 매우 안 좋았다고 볼 수 있다.

 

대한민국 분석

4-2-2-2 포메이션으로 경기를 시작했다.

앞서 포메이션 설명에서 말한 거처럼 경기가 시작하면서 4-1-1-2-2 형태의 포메이션으로 경기를 진행했다.

 

4-1-1-2-2 포메이션 선수들의 위치

 

해당 장면을 보면 명확하게 볼 수 있다.

권창훈 선수가 미드필더 지역까지 내려와 주고 이재성 선수도 미드필더 지역까지 올라가 주는 모습을 볼 수 있다.

경기 초반 예상대로 대한민국이 점유율을 가져가면서 많은 공격 작업들이 있었다.

하지만 UAE의 밀집 수비로 인해 큰 기회를 잡는 공격은 보이지 않고 빌드업 과정에서의 패스 미스가 많았다.

그로 인해 중간에서의 공이 인터셉트 또는 차단당하고 그대로 역습으로 이어지고 위험한 상황까지 가는 장면들이 있었다.

 

정우영 선수의 패스 미스 이후 역습을 시도 하는 UAE
역습 상황에서의 공간 패스 / 패스가 길어져 슈팅 상황까진 나오지 않았다

 

중앙에서의 빌드업이 풀리지 않자 이란전에서 처럼 측면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모습을 보여주었고 그로 인해 벤투 감독 특유의 하프 스페이스에서의 공격이 보이기 시작했다. 

 

측면을 활용하는 대표팀
하프 스페이스 공간으로 공격 1
정우영 선수의 측면을 향한 롱 패스
하프 스페이스 공간으로 공격 2

 

대한민국은 이러한 측면으로 볼을 배급하고 측면에서 하프 스페이스 공간을 적극적으로 이용해 좋은 장면들을 많이 만들어 냈다.

특히 측면에서는 황희찬 선수가 좋은 모습들을 많이 나왔으며 손흥민 선수와 위치를 좌, 우 바꿔가면서 많은 드리블 돌파를 시도했다.

 

황희찬 선수 양 팀 드리블 돌파 지표 1위

 

하지만 계속된 빌드업 과정에서의 패스 미스 및 선수 개인의 볼 미스가 상대 선수에게 탈취당함과 동시에 역습을 허용하면서 후반 53분 클리어 미스를 UAE 15번 ALBALOOSHI 선수가 획득 이후 킬패스를 7번 ALMAAZMI 선수에게 연결해 후반 54분 득점까지 이어졌다.

 

클리어 미스 장면
클리어 미스 획득 이후 킬패스 장면
후반 54분 UAE 7번 ALMAAZMI 선수의 득점 장면

 

이 득점 한방으로 인해 점유율은 의미가 없어졌고 이후 대표팀은 하프 스페이스를 이용한 공간 패스를 이용해 좋은 장면을 만들어 냈지만 득점으로 까진 이어지지 못하고 경기가 종료됐다.

 

나의 생각

 

코로나로 인해 완벽한 1군 멤버는 아니라고 본다.

중앙에서 볼 배급 운반을 해주고 전진 스루패스를 찔러주는 황인범 선수의 빈자리가 느껴졌다.

하지만 그전에 앞서 이란전에서도 그렇고 1차 빌드업 과정에서 보여준 패스 미스와 개인의 볼 미스가 패배의 원인이라고 생각한다.

 

경기 내용은 우린 나름대로 벤투 감독의 철학이 녹아져 있는 축구를 했고 골대를 맞는 불운도 있었지만 내용 자체는 좋았다고 본다.

 

아쉬웠던 점은 세트피스 기회를 제대로 못 살린 게 아쉽다.

또한 최근에 황의조 선수의 부진한 모습이 눈에 띈다.

최근 A매치 경기에서 골 맛을 못 보고 있다.

황의조 선수의 슬럼프를 끊지 못한다면 최전방 공격수에 대한 옵션을 다시 생각해 봐야 한다고 본다.

세트피스에서의 공격, 수비는 현재 벤투 감독의 문제점인 거 같다.

특히 대표팀 경기는 토너먼트나 단판 승부가 많아 세트피스가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약팀이 강팀을 잡을 수 있는 무기가 될 수 있고 또한 강팀은 벽을 세우는 팀 상대로 득점을 할 수 있는 강력한 무기라고 생각한다.

 

아직 월드컵까지 시간은 충분하고 세트피스에서의 부분 전술과 훈련만 잘 숙달된다면 월드컵 16강 이상 진출할 수 있는 꿈을 꿔봐도 좋다고 생각한다.

 

요약

 

장점

1. 대한민국 대표팀의 경기는 이란전과 비슷하게 측면과 하프 스페이스를 적극적으로 공략

2. 황희찬 선수의 측면 플레이의 강점 

3. 밀집 수비에 대한 공략이 어느 정도는 효과를 보고 있음

 

단점

1. 빌드업 과정, 수비지역에서의 패스 미스 또는 볼 미스

2. 황의조 선수의 부진

3. 세트피스 전술 보완 필요

 

UAE 분석

UAE는 수비와 역습의 중점을 둔 4-4-2 또는 4-1-4-1 포메이션으로 경기를 준비해왔다.

이 과정에서 두 개의 포인트를 볼 수 있었다.

 

첫 번째는 중앙 밀집 수비이다.

수비는 중앙 밀집 형태로 측면은 열어주고 안으로 좁히는 수비 블록을 형성해 중앙으로 인한 공격을 차단했다.

요즘 해외리그에서도 많이 보이는 전형적인 약팀이 강팀을 상대할 때 보여주는 수비 형태라고 볼 수 있다.

 

전반 UAE 중앙 밀집 수비 1 / 확보된 측면 공간
후반 UAE 중앙 밀집 수비 2 / 확보된 측면 공간에서 패스 요청하는 대한민국

 

두 번째는 압박의 포인트다.

UAE는 필요한 압박에만 집중했는데 압박의 포인트는 정우영 선수다.

 

정우영 선수가 공을 받을 때 혹은 공을 다른 선수에게 패스할 때 그 패스의 경로나 도착지에 압박을 가하거나 

정우영 선수에게 공이 올 때나 패스의 도착지가 정우영 선수일 때 적극적으로 압박하는 모습을 보여줬고 이러한 전술적 압박 포인트로 인해 탈압박에 약한 정우영 선수의 실수를 유도한 점이 눈에 띄었다.  

 

정우영 선수와 다음 패스 경로를 압박하러 가는 UAE 선수

 

위 사진처럼 정우영 선수에게 공이 가는 순간 공격수가 바로 압박에 들어가고 이어서 그 뒤에 있던 선수가 그다음 정우영 선수의 패스 경로를 예상해 압박하러 가는 모습이 보인다.

 

이렇게 되면 전진 패스가 힘들어지고 다시 뒤로 패스를 돌려야 하는 움직임에서 상대방이 거리를 좁혀올 시간이 충분하기에 탈압박을 못하거나 안전하게 확보된 우리 지역으로 공을 가져가지 못한 상태에서 백패스를 하게 되면 상대 공격수가 인터셉트하거나 또는 패스 미스가 나올 상황이 크다.

 

실제로 이러한 전술적 압박이 성공해 정우영 선수의 실수를 유도하고 인터셉트의 성공해 위험한 역습 상황까지 만들어지는 장면들이 많았다.

 

정우영 선수의 볼을 인터셉트 후 역습을 전개 하는 UAE

 

빈 공간으로 스루패스 하는 UAE

이러한 전술적 압박 포인트와 중앙 밀집 수비로 우리나라의 공세를 막고 실수를 유도해 그 상황에서 역습을 진행해 점유율 적으로는 밀리지만 전술적인 측면에서는 앞서 나갔다고 볼 수 있다.

 

나의 생각

 

UAE는 이번 경기를 이겨야지만 플레이오프를 진출하는 상황이었다.

그만큼 이겨야 하는 경기이기에 무작정 내려앉는 텐백 전술 보단 힘을 비축하고 필요한 순간에만 쏟아내는 전술적 선택을 잘해서 이겼다고 생각한다.

선수들의 집중도가 매우 돋보였으며 기회를 잡았을 때 좋은 찬스들을 만들어 냈으며 대한민국과의 지역예선 경기를 잘 준비했다고 본다.

우리나의 약점을 제대로 공략하고 준비한 UAE는 플레이 오프에서도 좋은 모습을 기대해 볼만 하다.

요약

장점

1. 수비에 대한 집중도

2. 잘 준비된 전술과 역습의 합

 

단점

1. 파이널 써드에서의 최종 패스의 아쉬움

 

리뷰 후 토크

 

아시아 최종예선에서 아쉽게 패배했지만 월드컵 진출을 달성한 대표팀에 축하의 마음을 전달하고 싶다.

벤투 감독 체제가 자리 잡힌 느낌이 보였고 선수들도 벤투 감독의 철학을 이해하고 잘 수행했다고 생각한다.

FIFA 랭킹도 많이 끌어올려 3포트로 월드컵에 진출했고 강팀이랑 경기해도 기대해봐도 될 거 같다.